[k8s] k9s 쿠버네티스 UI 툴

끝으로 ㅣ 2024. 4. 28. 10:35

k9s는 kubernetes 작업을 UI를 통해 명령어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오픈소스 툴이다.

맥북에 k9s를 설치하고, 쿠버네티스 환경에 올라간 애플리케이션 로그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설치

k9s 설치

 

Install

Installation Overview K9s is available on Linux, macOS and Windows platforms. Binaries for Linux, Windows and Mac are available as tarballs in the release page. MacOS # Via Homebrew brew install derailed/k9s/k9s # Via MacPort sudo port install k9s Linux #

k9scli.io

$ brew install k9s

나는 brew를 통해 k9s를 설치했다.

 

실행

k9s 실행 후 kubectl 명령어의 옵션들을 사용할 수 있다.

# k9s 기본 실행
$ k9s
 
# k9s config 적용하여 실행
$ k9s --kubeconfig=$KUBE_CONFIG
 
# 특정 네임스페이스만 조회 (dev, cbt, prod, ...)
$ k9s -n cbt
 
# 특정 Kind 조회 (ing, svc, deploy, pod, ...)
$ k9s -c pod

 

? 키를 입력하여 단축키 설명을 확인 가능하다.

 

쿠버네티스 리소스들에 Enter, ESC 키로 하위 리소스에 접근하거나 다시 이전으로 돌아올 수 있다.

Pod안의 Container에 접근하면 애플리케이션 로그를 확인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이 다중화 되어있는 경우 각 Pod에 하나하나 들어가보지 않고도 deploy, svc 레벨에서 L 키를 입력하여 하위 Pod에 대한 로그를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로그 확인 시 0 키를 입력해서 로그의 tail을 확인하는데, 불러온 로그의 윗 부분을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k9s 설정 파일에서 logger tail의 값을 늘리면 더 많은 로그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 vi ~/Library/Application\ Support/k9s/config.yml
 
k9s:
    ...
  logger:
    tail: 100   
    ...

Mac에서 brew로 k9s를 설치했다면 ~/Library/Application\ Support/k9s 경로에 config.yml (k9s 설정파일)이 있다.

logger.tail의 기본 값은 100으로 1000, 2000 등 적당한 값으로 설정하면 k9s를 통해 편하게 로그 추적이 가능해진다.

 

참고

https://github.com/derailed/k9s

 

GitHub - derailed/k9s: 🐶 Kubernetes CLI To Manage Your Clusters In Style!

🐶 Kubernetes CLI To Manage Your Clusters In Style! - derailed/k9s

github.com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k8s] Ingress Rate Limiting  (0) 2024.04.21